전체 글 206

2025년 오사카 박람회 준비는 잘되고 있나?

1990년 이후, 일본은 저성장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특히 아베 신조 정권이 취임하면서 옛 화려했던 영광을 부활시키기 위한 노력이 시작되었습니다. 64년 도쿄 올림픽과 70년 오사카 만국박람회의 성공으로 미소를 지은 적이 있어, 이번에도 국제적인 이벤트로 옛 영광을 되살리려는 포부로 2020년 도쿄 올림픽과 2025년 오사카 박람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알다시피, 2020년 도쿄 올림픽은 팬데믹의 여파로 옛 영광의 재현이 물거품이 되었습니다. 그 후로 일본이 기대하고 있는 다음 큰 행사는 2025년 오사카 박람회입니다. 그렇다면 현재 박람회의 준비는 어떠한지, 소식은 좋은 편인가요? 하지만 현실은 아래 뉴스와 같이 좋은 소식이 들려오지 않고 있습니다. 박람회의 역풍 입헌민주당 "돈낭비의 온상" ..

(React) VS Code Extension - React Component Splitter

열심히 코딩을 하다 보면 return 부분에 쓸데없이 엄청난 코드가 난립하여 코드 해석이 곤란할 경우가 많다. 되도록이면 잘게 화일로 나눠서 서브 컴포넌트화 하는게 바람직하다. 이럴때 자동으로 정리해 주는 VS Code 의 Extension 이 있다. "React Component Splitter" 로 검색하여 인스톨 하자. 사용법: 1. 새로운 서브 컴포넌트화 시키고 싶은 코드 영역을 선택 2. 마우스 우클릭하여 "Split to New Component" 메뉴를 선택 3. 새로운 서브 컴포넌트 이름을 입력

(React) useContext

useContext 는 여러층의 컴포넌트를 호출할 필요가 있지만 호출측의 데이터를 특정한 컴포넌트만에서 사용할 필요가 있을시 사용.(props를 쓰는 방법도 있지만 중간 계층의 콤포넌트들은 사용하지 않고 전달만 하는 측면에서 비효율적임)1. 사용방법    1.1 context 생성// context.js import { createContext } from 'react'; export const Context = createContext('Default Value');    1.2 context 제공        호출컴포넌트를 로 감싸고 value 를 전달import { Context } from './context'; function Main() {   const value = 'My Context..

(React) Props

component 간에 데이터를 전달할 때 사용 데이터를 받는 방법1. 받는 함수의 파라미터에 { 변수명1, 변수명2, ... } 을 명시// 호출측 greet="Welcome" who="John" /> // 받는측 function Message( { greet, who } ) {   return {greet}, {who}!; } 2. 받는 함수의 파라미터로 props 를 선언// 호출측 who="John"> // 받는측 function Hello(props) {   return Hello, {props.who}!; } 3. 받는측이 클래스의 경우// 호출측 // Render who="John" /> // 받는측 import { Component } from 'react'; class HelloAsCla..

연봉 440만엔에도 생활이 힘든 "빈곤 일본의 현실"

https://news.yahoo.co.jp/articles/af91b14b4611a1bab521ce37f762cb7479119fd3 「就職氷河期世代」の絶望感…「年収400万円」でも生活が苦しい「貧困ニッポンの現実」(現 平均年収443万円――これでは普通に生活できない国になってしまった。 平均年収の生活、いったい何ができて、何ができないのか? 20年ほど労働や雇用の問題を取材し続けてきたジ news.yahoo.co.jp 남의 나라 걱정할 때가 아닌것도 한데 일단 기사의 내용은 한창 일할 나이인 40-50대 세대가 안고 있는 금전문제를 다뤘다. 일본에는 취업빙하기 세대가 존재하는데 1993년 부터 2004년 사이에 대학을 졸업한 세대가 지금 40,50대에 접어 들었다. 이는 일본의 버블이 꺼지고 아시아 금융위가가 일어 나는 시기..

유독 올해 곰에 의한 인명 피해 다발

https://www3.nhk.or.jp/news/html/20231022/k10014233521000.html クマによる人的被害 統計開始以降最多に 今年度17道府県160人 | NHK 【NHK】日本各地で相次いで報告されているクマによる被害。22日は岐阜県や山形県でけが人が出ました。クマに襲われてけがをするなど、… www3.nhk.or.jp 유독 올해(2023년)는 하루가 멀다하고 곰에 의한 인적 피해 뉴스가 들려온다. 지금까지 사망 5명 부상 180명에 달한다. 가장 엽기적인 사건은 올가을 소방서에 근무하는 동료 3명이 홋카이도 산행에 나섰다가 한줄로 올라가던 중 뒤에서 곰이 사람을 덮쳤지만 한 소방관이 나이프로 곰의 목을 찔러 위기를 모면 할 수 있었다. 나중에 경찰이 주위를 살피던 중 가까운 계곡에서 곰의 사채를..

(React) useRef

초기값을 지정할 수도 없을 수도 있음.useRef() 를 호출하면 ref 오브젝트를 반환, 오브젝트는 유일한 프로퍼티 current 를 가지며 값을 참조 변경 할 수 있다.import { useRef } from 'react'; function MyComponent() {   const intervalRef = useRef(0);   const inputRef = useRef(null);   // ...   용도1. state와 달리 재렌더링은 유발하지 않고 단순히 변화된 값만 저장하고 싶을 경우return () 내에서의 사용은 자제해고 단순히 이벤트 함수내에서 값을 변경.import { useRef } from '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Counter() {      l..

(React) useEffect

useEffect 는 직접적인 타켓 출력을 하지 않는 작업으로서 fetch request, DOM 직접 조작, 타이머 함수등을 실행한다. ※ 함수 컴포넌트의 body에서는 값의 계산을 하고 이외의 작업( fetch request, DOM 직접 조작, 타이머 함수등)을 정의하지 않는것이 기본이다. 위의 작업을 side-effects 라고 부른다. useEffect(callback[, dependencies]);callback : 실행 함수, DOM 업데이트 후에 실행dependencies : 옵션 의존오브젝트 array. 만약 의존오브젝트가 렌더링 사이에 변화가 있다면  callback 함수가 실행된다. dependencies 가 없는 경우 useEffect(() => {    // 렌더링이 될때마다 실행..

(pandas) Youtube 노빠꾸탁재훈 채널 분석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노빠꾸탁재훈.csv") ※ 노빠꾸탁재훈.csv 생성 방법 -> (pandas) 분석용 youtube 채널 데이터(DataFrame) 만들기 통계정보 df.describe() index Unnamed: 0 tag_count view_count like_count dislike_count comment_count reactions count 110 110 110 110 110 110 110 mean 54.5 45.418182 1997622.7 23483.545 0 1742.6091 26968.764 std 31.898276 40.035164 1673348.5 19756.041 0 1838.4978 23041.672 min 0 0 21776 ..

data science/pandas 2023.11.18

(pandas) 분석용 youtube 채널 데이터(DataFrame) 만들기

준비물 Youtube API Key (free) 취득방법은 아래 사이트의 중간부분 참조 https://blog.hubspot.com/website/how-to-get-youtube-api-key 모듈 인스톨 pip3 install pandas pip3 install google-api-python-client 분석할 채널 ID Youtube채널 사이트에 들어가서 페이지 소스 보기 channelId 로 검색 예) 노빠꾸탁재훈 https://www.youtube.com/@nobacktak channelId : UCSSkHIU1-nL_FeCjeZ_Xtvg Python Code from googleapiclient.discovery import build import os import pandas as pd A..

data science/pandas 2023.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