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OS와 User간의 소통을 위한 text 베이스의 인터페이스가 존재하는데 shell, terminal, prompt 등으로 불리운다.
shell 의 종류로는
・Interactive shell : 유저 입력을 받는 shell ( terminal 실행시 초기 shell )
・Non-Interactive shell : 유저 입력과 관계없는 실행만 하는 shell (sh 화일이 실행되는 shell)
또한
・Login shell : 로그인 했을 때 실행되는 shell ( ssh 로 리모트 로그인 등)
・Non-Login shell : 보통의 shell ( terminal 실행시 shell )
Interactive Login shell
보통 login(자동 로그인/그래픽 로그인 포함)시는 아래의 순서로 환경화일이 읽어진다.
1. /etc/profile * 모든 유저에 적용하고자 하는 설정을 한다. 예) PATH
2. ~/.bash_profile * '~' 는 유저의 홈디렉토리. 그래픽UI 환경에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재일 수 도 있다.
3. ~/.bash_login * 그래픽UI 환경에서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부재일 수 도 있다.
4. ~/.profile * 기본적으로 내부에서 .bashrc 를 읽어 들인다.
주로 유저를 위한 PATH 를 설정한다.
화일을 nano 로 읽어들여 (nano ~/.profile), 맨 마지막 라인에 아래를 추가하여 Ctrl+x 로 저장하여 종료
export PATH=$PATH:새로운패스 |
바로 적용
$ source ~/.profile |
Interactive | Non-Interactive Non-login shell
보통 terminal 을 클릭해서 실행
~/.bashrc 를 읽어 들인다.
주로 command 의 alias(별칭) 을 설정한다.
'Commands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검색 (0) | 2025.03.01 |
---|---|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리 (0) | 2025.03.01 |
aws 처럼 ssh 로 password 없이 private key 로 접속하기 (0) | 2025.03.01 |
방화벽 (firewall) (0) | 2025.02.28 |
유저 / 그룹 / 화일 관리 (0) | 2025.02.28 |